본문 바로가기

경제학/미시경제학

[미시경제학 강의노트_2주차.2] 수요곡선과 공급곡선, 시장균형의 변화, 수요의 가격탄력성

시장균형

  • 상품의 수요와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지점, 그 지점의 가격이 균형가격(P*), 그 지점의 거래량이 균형 거래량(Q*)
  • ex) 옥수수 시장에서의 시장균형의 예
    • 초과공급 시
      • 균형가격보다 싼 가격에 공급자가 상품을 내놓기 시작함 -> 물가 하락 압박
    • 초과수요 시
      • 균형가격보다 비싼 가격에 공급자가 상품을 내놓기 시작함 -> 물가 상승 압력
    • 두 개의 경우 모두, 결국 시장 균형 가격으로 되돌아가는 형태를 보임.
      • 애덤 스미스, 데이비드 리카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고전학파의 주장(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경제 전체의 균형)

Ceteris Paribus

  • other things being equal 조건
  • 다른 것들은 불변 혹은 동일하다고 가정
  • 경제법칙의 정립을 위해 알프레드 마셜이 도입한 개념
  • 경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Ceteris Paribus 조건을 전제하에 경제 법칙을 정립

시장균형의 변화(either 수요 or 공급이 변화할 때)

  • 수요의 변화에 따른 시장균형의 변화

  • 공급의 변화에 따른 시장균형의 변화
 

시장균형의 변화(both 수요 and 공급이 변화할 때)

  • 수요와 공급의 변화량 차이에 따라 시장균형 가격, 거래량의 변화를 나누어 확인해야 함.
  • Case 1 - 수요 증가, 공급 증가

  • Case 2 - 수요 감소, 공급 감소

  • Case 3 - 수요 증가, 공급 감소

  • Case 4 - 수요 감소, 공급 증가


시장균형 변화의 폭

  • 공급,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가파를수록 변화의 폭이 작아짐
      • (=기울기가 가파를수록 가격 변화에 민감하지 않게 반응함)
 

수요와 공급의 탄력성

  • 수요와 공급이 가격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지표
  • 수요, 공급 곡선의 기울기는 단위에 영향을 받지만
  • 탄력성은 % 수치이기 때문에 단위에 영향을 받지 않음

탄력성의 공식

  • X의 변화에 의해 Y의 변화가 생긴다면,

탄력성의 해석

  • E = 2이면 X가 1% 증가 시 Y 2% 증가
  • E = -2이면 X가 1% 증가 시 Y 2% 감소
  • 탄력성은 단위에 대한 정보 없이도 명확한 이해 가능

수요의 가격탄력성(중요!)

  • 상품의 가격 변화가 수요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나타내는 지표(가격 변화에 민감한 정도)
  •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대게 음의 값을 가짐
    • 가격이 오르면 수요 감소
    • 가격이 내리면 수요 증가

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값을 갖는 경우

  • 비슷한 기능하는 대체제 있는 경우
  • 소비자가 상품을 사치재라고 생각하는 경우
  •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가난한 경우

직선형 수요곡선의 탄력성

  • 일반적으로 수요의 탄력성은 수요곡선 위의 어느 점에서 측정하는 가에 따라 값이 달라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