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주 차 강의에선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원칙들을 알아보고, 무차별곡선과 한계대체율, 대체재와 보완재의 개념, 효용과 한계대체율의 개념에 대해 배웠습니다.
소비자의 의사결정
- 본인의 만족(효용 간)을 극대화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몇 개, 몇 단위 사용할지에 대한 의사 결정
- 단, 소비자는 주어진 사정, 가격, 예산 하에서 결정(자원의 희소성에 의한 제약조건)
- 일정 기간 동안 경합(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선택에 대가가 따름) 하는 필요와 욕구에 의해 제한된 예산을 배정해야 함.
- 기본 가정
- 소비자가 두 상품을 똑같이 선호하는 경우 '무차별'하다고 함(Indifference)
- 기본 원칙 3가지
- 순위 부여의 원칙 : 소비자는 선호에 근거하여 상품에 순위를 매김.
- 선택의 원칙 : 소비자는 선택 간의 한 상품 중 순위가 높은 상품을 선택함.
- 다다익선의 원칙 : 소비자는 상품이 더 많은 소비 묶음을 선택함.
무차별 곡선(indifference curve)
- 동일한 무차별 곡선 상의 두 소비 묶음은 소비자에게 동일한 만족감을 줌(무차별함)
- 무차별 곡선의 특성
- 무차별 곡선은 가늘다 : 곡선 위엔 하나의 상품만 위치할 수 있음.
- 무차별 곡선은 양의 기울기를 가질 수 없다. : 다다익선의 원칙에 의해
- 두 무차별 곡선은 교차하지 않는다.
- 원점으로부터 멀리 있는 무차별곡선일수록 더 높은 효용을 준다.


무차별 곡선의 수식적 표현
- 특정 수준의 효용을 주는 집합을 찾으려면 효용 U에 어떤 값을 대입하고 B와 S의 관계를 그리면 됨.(분수함수의 형태)
상품들 간의 대체성
- 경제활동의 의사결정은 트레이드오프를 수반함.
- A를 얻기 위해 B를 얼마나 포기할 것인가? -> 무차별 곡선이 그 정보를 제공함
대체율

한계 대체율(Marginal Rate of Substitution)
- 한계대체율 = 무차별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의 음수 값(혹은 절댓값)
- 무차별 곡선은 오른쪽으로 갈수록(x 재화의 수량이 증가할수록) 완만한 기울기를 보임 -> 한계대체율 체감의 법칙
- 소비자들이 소비 묶음의 다양성을 중시하기 때문
완전 대체재(Perfect Substitutes)
- 두 재화의 기능이 완전히 동일함
- 선호의 차이가 없어 두 재화를 수량에 상관없이 일정한 비율로 대체하고자 함.
- 반드시 1 대 1의 비율(무차별 곡선의 기울기가 -1) 일 필요는 없음.

완전 보완재(Perfect Complements)
- 두 재화가 동시에 사용될 때만 쓸모 있음(이어폰, 신발 등)
- X 재화가 1단위 증가하면 Y 재화도 1단위 증가함

효용(Utility)
- 소비자의 상대적인 만족감 수치
- 소비자의 최종 목표는 재화나 서비스로부터 편익을 얻는 것임.
효용 함수(Utility Function)
- 소비자가 소비 묶음으로부터 얻는 가치를 수치적으로 표현
- 효용함수는 서수적인 정보만 나타냄.(원점으로부터 멀리 있을수록 높은 효용을 부여하지만, 그 비율과 수치 차이는 의미 없음)
한계 효용(Marginal Utility)
- 한계대체율과 효용을 연관 짓기 위해 도입
- 어떤 상품의 한 단위 증가에 따라 추가로 증가하는 효용을 의미함.

'경제학 > 미시경제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시경제학 강의노트_6주 차. 1] 명목 소득, 실질 소득, 수요곡선을 통한 후생 분석, 소득효과와 대체효과, 소비자 잉여 (0) | 2024.08.31 |
---|---|
[미시경제학 강의노트_5주 차] 예산제약, 예산선, 한계대체율과 최적 선택, 내부의 해와 구석의 해(corner solution), 효용극대화, 정상재와 열등재 (0) | 2024.08.31 |
[미시경제학 강의노트_3주 차] 편익과 비용의 비교, 순 편익과 한계 편익, 매몰비용과 의사결정, 최적 선택 (0) | 2024.08.31 |
[미시경제학 강의노트_2주차.2] 수요곡선과 공급곡선, 시장균형의 변화, 수요의 가격탄력성 (0) | 2024.08.31 |
[미시경제학 강의노트_2주차.1] 수요와 공급,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(0) | 2024.08.31 |